"동굴 소년들 30분 잠수 참아"
"소년들은 시계가 제로인 상태에서 최장 30분간 잠수를 견뎠다. 아이들과 코치가 똘똘 뭉쳐 강한 생존 의지를 보였다." 세계가 주목했던 태국 치앙라이 탐루엉 동굴의 유소년 축구팀원 구조는 어떤 과정을 거쳐 진행됐을까. 미국이 파견한 구조단을 이끈 공군 구조전문가 데렉 앤더슨 상사는 11일 AP통신과 인터뷰에서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구조 당시 동굴 안의 상황을 일부 공개했다. 그가 이끄는 미군 인도 태평양사령부 소속 구조전문가 30명은 지난달 28일 태국의 요청으로 동굴로 달려왔다. 당시만 해도 13명의 소년과 코치의 생존 여부와 위치가 파악되지 않았다. 앤더슨 상사는 "우리가 동굴에 도착했을 때만 해도 바닥이 말라 있었지만 불과 1시간~1시간 30분 만에 동굴 안쪽에 물이 가득 고여 밖으로 나와야 했다"고 당시를 떠올렸다. 그는 태국 당국이 제3의 출입구를 찾거나 바위를 굴착하는 방법 대신, 몸도 허약하고 수영조차 하지 못하는 아이들에게 잠수법을 가르쳐 동굴 밖으로 데리고 나오는 선택을 한 배경도 풀어놨다. 그는 "동굴 안의 산소 농도는 떨어지고 아이들이 아플 위험도 있었다. 비가 더 내리면 소년들이 장기간 동굴에서 생존할 수 있는 가능성이 점점 더 희박해지는 상황이었다"고 설명했다. 이때부터 시작된 잠수장비 사용법 교육은 최대 난코스로 불리는 좁은 통로를 통과하는데 맞춰졌다. 탈출 과정에서는 전면마스크 등 이미 알려진 것 이외에도 다양한 장비가 쓰였다고 한다. 물속에서 몸이 떠오르지도 가라앉지도 않도록 유지해주는 '부력 보정기', 머리까지 감싸는 후드형 잠수복, 번지 코드(신축성 있는 고무끈), 특수 마스크 등이 사용됐다. 앤더슨 상사는 "특히 양압 호흡기가 달린 마스크가 결정적이었다"며 "이 마스크를 쓰면 아이들이 좁은 통로에서 패닉 상태에 빠져 마스크 안에 물이 들어와도 압력때문에 자동으로 배출된다"고 부연했다. 그는 이런 장비를 갖췄음에도 좁은 통로에 저체온증을 유발하는 빠른 물줄기가 흘러 초기 여러 차례 돌파 시도가 실패로 돌아갔고, 로프가 설치된 아주 조금 진전이 있었지만, 불과 40~50m를 나아가는데 5~6시간을 허비해야 했다고 말했다. 당국은 생존자 1명당 잠수 전문가 2명이 붙어 아이들을 빼냈다고 설명했지만, 앤더슨 상사는 "동굴 안에는 100명에 가까운 구조인력이 있었다. 총 9개의 공간을 통과하는 위험천만한 과정에 생존자 1명당 10여 명이 붙었다"고 말했다. 일부 구간에서는 2명, 좁은 구간에서는 1명의 잠수사가 이들과 동행했고, 에어포켓이 있는 공간은 아이를 공중에 띄워 통과시켰다. 그는 "이번 구조작전은 나도 이전에 해본 적이 없는, 일생에 한 번 경험할까 말까 한 것"이라며 "우리는 지극히 운이 좋았기 때문에 원했던 결과를 얻었다. 많은 퍼즐 조각을 맞춘 결과라는 사실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